□ 1월 보안 업데이트 개요(총 9종) 
 ㅇ 발표일: 2016.1.13.(수) 
 ㅇ 등급: 긴급(Critical) 6종, 중요(Important) 3종 
 ㅇ 업데이트 내용 
| 패치번호 | 
KB번호 | 
중요도 | 
발생 위치 | 
영향 | 
 
| MS16-001 | 
KB3124903 | 
긴급 | 
Internet Explorer | 
원격 코드 실행 | 
 
| MS16-002 | 
KB3124904 | 
긴급 | 
Microsoft Edge | 
원격 코드 실행 | 
 
| MS16-003 | 
KB3125540 | 
긴급 | 
Windows | 
원격 코드 실행 | 
 
| MS16-004 | 
KB3124585 | 
긴급 | 
Office, Visual Basic | 
원격 코드 실행 | 
 
| MS16-005 | 
KB3124584 | 
긴급 | 
Windows | 
원격 코드 실행 | 
 
| MS16-006 | 
KB3126036 | 
긴급 | 
Silverlight | 
원격 코드 실행 | 
 
| MS16-007 | 
KB3124901 | 
중요 | 
Windows | 
원격 코드 실행 | 
 
| MS16-008 | 
KB3124605 | 
중요 | 
Windows | 
권한상승 | 
 
| MS16-010 | 
KB3124557 | 
중요 | 
Exchange Server | 
스푸핑 | 
 
 
  
□ 특이사항 
 ㅇ 1월 보안 업데이트 9종 중 긴급은 6종임 
  
  
[MS16-001] Internet Explorer 누적 보안 업데이트 
□ 영향 
  o 공격자가 영향 받는 시스템에 원격 코드 실행 
□ 설명 
  o 사용자가 Internet Explorer를 사용하여 특수 제작된 웹사이트를 볼 경우, 원격 코드 실행을 허용하는 취약점이 존재 
  o 관련취약점 : 
    - 스크립팅 엔진 메모리 손상 취약점 – (CVE-2016-0002) 
    - IE 권한 상승 취약점 – (CVE-2016-0005) 
  o 영향 : 원격코드 실행 
  o 중요도 : 긴급 
□ 해당시스템 
  o 참조사이트 
    - 한글 : https://technet.microsoft.com/ko-kr/library/security/MS16-001 
    - 영문 : https://technet.microsoft.com/en-us/library/security/MS16-001 
□ 해결책 
  o 해당 시스템에 대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취약점 패치 적용 
  
  
[MS16-002] Microsoft Edge용 누적 보안 업데이트 
□ 영향 
  o 공격자가 영향 받는 시스템에 원격 코드 실행 
□ 설명 
  o 사용자가 Microsoft Edge를 사용하여 특수 제작된 웹사이트를 볼 경우, 원격 코드 실행을 허용하는 취약점이 존재 
  o 관련취약점 : 
    - 다중 메모리 손상 취약점 – (CVE-2016-0003,CVE-2016-0024) 
  o 영향 : 원격코드 실행 
  o 중요도 : 긴급 
□ 해당시스템 
  o 참조사이트 
    - 한글 : https://technet.microsoft.com/ko-kr/library/security/MS16-002 
    - 영문 : https://technet.microsoft.com/en-us/library/security/MS16-002 
□ 해결책 
  o 해당 시스템에 대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취약점 패치 적용 
  
  
[MS16-003] 원격 코드 실행을 해결하기 위한 JScript 및 VBScript에 대한 보안 업데이트 
□ 영향 
  o 공격자가 영향 받는 시스템에 원격코드 실행 
□ 설명 
  o 사용자가 특수 제작된 웹사이트를 볼 경우, 원격 코드 실행을 허용하는 취약점이 존재 
  o 관련취약점 : 
    - 스크립팅 엔진 메모리 손상 취약점 - (CVE-2016-0002) 
  o 영향 : 원격코드 실행 
  o 중요도 : 긴급 
□ 해당시스템 
  o 참조사이트 
    - 한글 : https://technet.microsoft.com/ko-kr/library/security/MS16-003 
    - 영문 : https://technet.microsoft.com/en-us/library/security/MS16-003 
□ 해결책 
  o 해당 시스템에 대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취약점 패치 적용 
  
 
[MS16-004] 원격 코드 실행을 해결하기 위한 Microsoft Office에 대한 보안 업데이트 
□ 영향 
  o 공격자가 영향 받는 시스템에 원격 코드 실행 
□ 설명 
  o 사용자가 특수 제작된 Microsoft Office 파일을 열 경우 원격 코드 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이 존재 
  o 관련취약점 : 
    - 다중 메모리 손상 취약점 - (CVE-2016-0010, CVE-2016-0035) 
    - ASLR 우회 취약점 - (CVE-2016-0012) 
  o 영향 : 원격코드 실행 
  o 중요도 : 긴급 
□ 해당시스템 
  o 참조사이트 
    - 한글 : https://technet.microsoft.com/ko-kr/library/security/MS16-004 
    - 영문 : https://technet.microsoft.com/en-us/library/security/MS16-004 
□ 해결책 
  o 해당 시스템에 대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취약점 패치 적용 
  
 
[MS16-005] 원격 코드 실행을 해결하기 위한 Windows 커널 모드 드라이버에 대한 보안 업데이트 
□ 영향 
  o 공격자가 영향 받는 시스템에 원격코드 실행 
□ 설명 
  o 공격자가 특수 제작된 웹 사이트를 방문하는 경우, 원격 코드 실행을 허용하는 취약점이 존재 
  o 관련취약점 : 
    - ASLR 우회 취약점 - (CVE-2016-0008) 
    - Win32k 원격 코드 실행 취약점 - (CVE-2016-0009) 
  o 영향 : 원격코드 실행 
  o 중요도 : 긴급 
□ 해당시스템 
  o 참조사이트 
    - 한글 : https://technet.microsoft.com/ko-kr/library/security/MS16-005 
    - 영문 : https://technet.microsoft.com/en-us/library/security/MS16-005 
□ 해결책 
  o 해당 시스템에 대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취약점 패치 적용 
  
 
[MS16-006] 원격 코드 실행을 해결하기 위한 Silverlight에 대한 보안 업데이트 
□ 영향 
  o 공격자가 영향 받는 시스템에 원격코드 실행 
□ 설명 
  o 사용자가 특수 제작된 Silverlight 응용 프로그램이 포함 된 웹사이트를 볼 경우, 원격 코드 실행을 허용하는 취약점이 존재 
  o 관련취약점 : 
    - Silverlight 런타임 원격 코드 실행 취약점 - (CVE-2016-0034) 
  o 영향 : 원격 코드 실행 
  o 중요도 : 긴급 
□ 해당시스템 
  o 참조사이트 
    - 한글 : https://technet.microsoft.com/ko-kr/library/security/MS16-006 
    - 영문 : https://technet.microsoft.com/en-us/library/security/MS16-006 
□ 해결책 
  o 해당 시스템에 대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취약점 패치 적용 
  
 
[MS16-007] 원격 코드 실행을 해결하기 위한 Microsoft Windows에 대한 보안 업데이트 
□ 영향 
  o 공격자가 영향 받는 시스템에 원격 코드 실행 
□ 설명 
  o 사용자가 특수 제작된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경우 원격 코드 실행이 허용되는 취약점이 존재 
  o 관련취약점 : 
    - DLL 로드 권한 상승 취약점 - (CVE-2016-0014) 
    - DirectShow 힙 손상 원격 코드 실행 취약점 - (CVE-2016-0015) 
    - DLL 로드 원격 코드 실행 취약점 - (CVE-2016-0016, 0018) 
    - Windows 원격 데스크톱 프로토콜 보안 우회 취약점 - (CVE-2016-0019) 
    - MAPI DLL 로드 권한 상승 취약점 - (CVE-2016-0020) 
  o 영향 : 원격 코드 실행 
  o 중요도 : 중요 
□ 해당시스템 
  o 참조사이트 
    - 한글 : https://technet.microsoft.com/ko-kr/library/security/MS16-007 
    - 영문 : https://technet.microsoft.com/en-us/library/security/MS16-007 
□ 해결책 
  o 해당 시스템에 대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취약점 패치 적용 
  
 
[MS16-008] 권한 상승을 해결하기 위한 Windows 커널에 대한 보안 업데이트 
□ 영향 
  o 공격자의 권한 상승 허용 
□ 설명 
  o 사용자가 특수 제작된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경우 권한 상승을 허용하는 취약점이 존재 
  o 관련취약점 : 
    - Windows 탑재 지점 권한 상승 취약점 - (CVE-2016-0006, 0007) 
  o 영향 : 권한 상승 
  o 중요도 : 중요 
□ 해당시스템 
  o 참조사이트 
    - 한글 : https://technet.microsoft.com/ko-kr/library/security/MS16-008 
    - 영문 : https://technet.microsoft.com/en-us/library/security/MS16-008 
□ 해결책 
  o 해당 시스템에 대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취약점 패치 적용 
  
 
[MS16-010] 스푸핑을 해결하기 위한 Microsoft Exchange Server에 대한 보안 업데이트 
□ 영향 
  o 공격자에 스푸핑 허용 
□ 설명 
  o OWA(Outlook Web Access)가 적절히 웹 요청을 처리하고 사용자 입력 및 전자 메일 콘텐츠를 삭제하지 못하는 경우 스푸핑을 허용하는 취약점이 존재 
  o 관련취약점 : 
    - Exchange 스푸핑 취약점 - (CVE-2016-0029~0032) 
  o 영향 : 스푸핑 
  o 중요도 : 중요 
□ 해당시스템 
  o 참조사이트 
    - 한글 : https://technet.microsoft.com/ko-kr/library/security/MS16-010 
    - 영문 : https://technet.microsoft.com/en-us/library/security/MS16-010 
□ 해결책 
  o 해당 시스템에 대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취약점 패치 적용 
 |